유방암

MUNJEONG U SURGERY CLINIC

MUNJEONG U SURGERY CLINIC

유방암이란?


검사 대상


  • 1
    정기적인 유방암 검사 대상자
  • 2
    서구식 식사를 즐기는 경우
  • 3
    유두 분비 증상이 있는 경우
  • 4
    가까운 친척이나 가족이 유방암을 겪은 경우
  • 5
    12세 이전에 초경을 한 경우
  • 6
    유방에 멍울이 만져지는 경우

종류


침윤성 유관암 유관을 이루는 세포에서 기원한 암이 유관의 기저막을 침범했을 때를 뜻합니다.
유방암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전체의 75~85%를 차지합니다.
침윤성 유관암
유관을 이루는 세포에서 기원한 암이 유관의 기저막을 침범했을 때를 뜻합니다.
유방암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전체의 75~85%를 차지합니다.
유관 상피내암
(비침윤성)
유관 세포에 생겼으나 유관 기저막을 침범하지 않아 '0기 암'이라고도 불립니다.
침윤성 유방암보다 훨씬 예후가 좋지만 암세포가 기저막을 뚫고 성장하면 침윤성 유관암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.
유관 상피내암
(비침윤성)
유관 세포에 생겼으나 유관 기저막을 침범하지 않아 '0기 암'이라고도 불립니다.
침윤성 유방암보다 훨씬 예후가 좋지만 암세포가 기저막을 뚫고 성장하면 침윤성 유관암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.
침윤성 소엽암 소엽을 구성하는 세포에서 기원한 암으로 전체 유방암의 10%정도를 차지합니다.
침윤성 유관암과 예후는 유사하지만 다발성이나 양측성의 빈도는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.
※ 다발성 : 한 쪽 유방에 암 덩어리가 두개 이상 있는 것 / 양측성 : 암이 좌우 유방 모두에 존재하는 것
침윤성 소엽암
소엽을 구성하는 세포에서 기원한 암으로 전체 유방암의 10%정도를 차지합니다.
침윤성 유관암과 예후는 유사하지만 다발성이나 양측성의 빈도는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.
※ 다발성 : 한 쪽 유방에 암 덩어리가 두개 이상 있는 것 / 양측성 : 암이 좌우 유방 모두에 존재하는 것
소엽 상피내암
(비침윤성)
소엽 세포에서 생겨난 암으로 소엽 기저막을 침범하지 않은 '0기 암'입니다.
유관 상피내암에 비해 젊은 연령층에 흔하고 다발성, 양측성의 빈도가 높은 편입니다.
이 또한 암세포가 기저막을 뚫고 성장하면 침윤성 유관암 또는 침윤성 소엽암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.
소엽 상피내암
(비침윤성)
소엽 세포에서 생겨난 암으로 소엽 기저막을 침범하지 않은 '0기 암'입니다.
유관 상피내암에 비해 젊은 연령층에 흔하고 다발성, 양측성의 빈도가 높은 편입니다.
이 또한 암세포가 기저막을 뚫고 성장하면 침윤성 유관암 또는 침윤성 소엽암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.
유방 파제트병 유두 및 유륜의 피부에 주로 발생하는 유방암의 특수한 형태입니다.
유방 파제트병
유두 및 유륜의 피부에 주로 발생하는 유방암의 특수한 형태입니다.

치료법



수술
항암치료


항암치료
방사선 치료


방사선치료